분류 전체보기172 쿠키와 세션의 차이 쿠키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텍스트 파일로 여러 내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쿠키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됩니다. 그리고 그 이후 웹 사이트 방문 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쿠키가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 때 서버에서 생성되는 고유한 정보입니다. 세션은 일반적으로 쿠키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세 고유한 ID를 부여하고, 이 ID를 서버에서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를 정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세션은 보안성이 높고,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쿠키보다 안전합니다.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저장 위치 :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고, 세션은 서버에.. 2023. 4. 24. RESTful API란? RESTful API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이용하여 자원을 조작하며, JSON 등의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특징 자원(Resource)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조작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이용하여 자원 조작 Stateless(무상태)한 통신 방식 URL을 통해 자원을 표현 JSON, XML 등의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 2023. 4. 24. 동기화에 대해서 동기화란, 둘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협력하여 수행할 때,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동기화 기법은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 및 공유 자원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사용 됩니다. 대표적인 동기화 기법 뮤텍스(Mytex) :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단일 쓰레드에게 제한하는 기법으로, 쓰레드 간 경쟁조건(race condition)을 방지한다. 세마포어(Semaphore) :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쓰레드의 수를 제한하는 기법으로, 특정한 자원에 대한 동시 접근을 제한하거나, 작업의 진행 상태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모니터(Monitor), 교착상태(Deadlock), 인터락(interlock)등 다양한 동기화 기법이 있습니다. 2023. 4. 24. 멀티쓰레드와 멀티프로세스의 차이점 멀티쓰레드와 멀티프로세스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두 기술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자원 공유 : 멀티쓰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쓰레드가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한다. 반면 멀티프로세스는 서로 다른 프로세스끼리 자원을 공유할 수 없다. 컨텍스트 스위칭 : 멀티쓰레드는 쓰레드 간의 전환 시에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나며, 이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반면 멀티프로세스는 프로세스 간의 전환 시에도 컨텍스트 위치잉이 일어나며, 이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일어난다. 메모리 사용 : 멀티쓰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쓰레드가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비교적 적다. 반면 멀티프로세스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 2023. 4. 24.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프로세스 메모리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최소 하나의 스레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 별도의 주소공간을 독립정으로 할당 받는다(code, data, stack, heap) 스레드 프로세스 안에서 실행되는 흐름 단위 stack만 따로 할당받고 나머지 영역(code, data, heap)은 스레드끼리 서로 공유한다 2023. 4. 14. 동기 비동기 동기 코드를 실행시키고 그 결과값을 받을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코드를 실행하는 처리방식을 말한다 동기식에서 결과를 기다리는 과정을 blocking이라고 한다 직렬식이다 비동기 코드를 실행시키고 그 결과값을 언제 받을지 모르는 상태로 다음 코드를 실행시킨다 비동기식에서 결과를 기다리지 않는 것을 non-blocking이라고 한다 병렬식이다 2023. 4. 14. 이전 1 2 3 4 5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