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17

22.11.25 / CS특강 / OSI 7계층 선수 개념 OSI 7계층 개념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의 표준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TCP/IP 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 탄생 배경 초기 여러 정보 통신 업체 장비들은 자신의 업체 장비들끼리만 연결이 되어 호환성이 없었다 모든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것이 OSI 7계층 표준(호환성)과 학습도구에 의미로 제작 작동 원리 OSI 7계층은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계층으로 나뉜다. 전송 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헤더를 붙인다(캡슐화) 수신 시 1계층에서 7계층으로 헤더를 떼어낸다(디캡슐화) 출발지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때 헤더가 추가되는데 2계층에서만.. 2022. 11. 29.
22.11.18 / CS특강 / 동기 비동기 알아두어야 할 용어 제어권 제어권은 자신(함수)의 코드를 실행할 권리 같은 것이다. 제어권을 가진 함수는 자신의 코드를 끝까지 실행한 후, 자신을 호출한 함수에게 돌려준다. 동시성 함수 A와 함수 B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 함수 A가 다른 함수 B의 결과값에 의존하는지가 중요하다. 동기와 비동기 동기(Synchronous) 호출하는 함수 A가 호출되는 함수 B의 작업을 완료 후 리턴을 기다리거나, 바로 리턴 받더라도 미완료 상태이라면 작업 완료 여부를 스스로 계속 확인하며 신경쓴다. (함수 A가 함수 B를 호출한 뒤, 함수 B의 리턴값을 계속 확인하면서 신경쓰는 것) 비동기(Asynchronous) 함수 A가 함수 B를 호출할 때 콜백 함수를 함께 전달해서, 함수 .. 2022. 11. 20.
22.11.18 / CS특강 / 프로세스 스레드 프로세스의 정의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프로세스의 구조 Code : 프로그램 명령이 위치하는 곳으로 기계어로 제어되는 영역 Data: 전역변수(Global Variable), 정적변수(Local Variable)의 할당을 위해 존재하는 공간 Stack: 지역변수 할당과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인자 값(리턴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임시 메모리 영역) Heap: 동적 할당 시 사용 (Java의 new(),C의 malloc() 등)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Process Address Space)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 Memory에 할당(생성)된다. Process Address Space Code Segmen.. 2022. 11. 19.
22.11.11 / CS특강 / CPU CPU(Central Processing Unit)란? 컴퓨터에서 뇌의 역할을 한다. CU(Control Unit), ALU(Arithmetic Logic Unit)(산술/논리 연산 유닛), N개의 Register, 캐시로 구성되어 있다. 싱글코어에서 멀티코어로 바뀌게 된 이유 싱글코어의 성능(클럭수)가 계속 고도화되며 CPU 자체가 소비하는 전력 소모와 그로인해 발생하는 발열 문제 코어 하나가 처리할 수 있는 작업 속도의 한계와 발전의 한계 CPU 구조 CU(Control Unit)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명령어들을 해독한다. 그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동작들을 수행시키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ALU(Arithmetic Logic Unit) 덧셈, 뺄셈 같은 두 숫자의 산술연산.. 2022. 11. 19.
레지스터의 종류 범용 레지스터 EAX (Extended Accumulator Register) 산술 연산 레지스터로, 곱셈과 나눗셈 명령에서 사용하고 함수의 return 값을 저장한다. EBX (Extended Base Register) 산술 연산 레지스터로, ESI나 EDI와 합쳐져 인덱스에 사용한다. ECX (Extended Counter Register) 산술 연산 레지스터로, 반복 명령어(Loop)를 사용할 때 반복 카운터를 저장한다. 반복 횟수를 저장한다. EDX (Extended Data Register) 산술 연산 레지스터로, EAX의 보조 역할을 한다. EAX만으로 연산 결과가 담기지 않을 때 부호 확장 명령 등으로 사용한다. ESI (Extended Source Index) 인덱스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 2022.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