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2 22.11.21 TIL 오늘 한 일 Python 기본문법 Javascript 기본문법 내일 할 일 알고리즘 인강 듣기 회고 오늘은 기본문법만 봤는데 시간이 어떻게 지나간지도 모르고 하루가 다 갔다. 내일은 조가 바뀌게 되는데 새로운 조원들과 함께 잘 지내고 Python 문법 + 알고리즘 강의를 들어야겠다. 2022. 11. 21. Javascript 기본문법 변수 // 기본적인 변수할당 let 변수이름 = 값 // 변수가 고정된 값을 가지고 있을 때 const 변수이름 = 값 // 과거엔 썼지만 지금은 쓰지 않는 키워드 var 변수이름 = 값 데이터 타입 // 숫자 console.log(10)// 10을 출력 const myAge = 37 const yourAge = 25 console.log(myAge)// 37을 출력 console.log(yourAge)// 25를 출력 // 문자열 //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로 데이터를 감싸야 한다 const firstName = 'Jungmin' const lastName = 'Kim' console.log(firstName)// Jungmin을 출력 console.log(lastName)// Kim을 출.. 2022. 11. 21. Python 기본문법 변수 선언과 자료형 변수 선언 a = 3 # 3을 a에 넣는다. print(a) b = a #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 print(b) a = 5 #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 print(a, b) # 5 3 숫자형 a = 7 b = 2 a+b # 9 a-b # 5 a*b # 14 a/b # 3.5 a%b # 1(나머지) a**b # 49 Boolean x = True # 참 y = False # 거짓 # 보통 비교연산자의 결과로 나타내기 위에 쓰인다 4 > 2 # True 크다 5 = 5 # True 크거나 같다 4 우리가 알고 싶었던 것 result2[1] # com # 한 줄로 한번에 할 수 있습니다 myemail.split('@')[1].sp.. 2022. 11. 21. 22.11.14 ~ 22.11.18 WIL Fact 미니 프로젝트 개인 페이지 제작 (댓글 CRUD 구현) 웹개발 종합반을 참고하여 HTML과 CSS, JS를 이용해서 화면을 만들고 Python(Flask)를 이용해서 서버를 만들었다. 팀 페이지의 버킷리스트 CRUD기능 및 화면 구현 개인 페이지 제작 때 사용했던 코드를 베이스로 화면 구성을 버킷리스트로 바꿔주었다. Feeling 웹개발 종합반을 수강하며 웹페이지를 만들었을 때는 이해를 잘 했다고 생각했는데 웹개발 종합반에서 배운 것을 응용하는 것은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될 지도 모르고 많이 헤맸다. 그리고 나는 Html과 CSS는 정말 맞지 않는다고 느꼇다. 하는 내내 재미도 없었고 하나하나 세세하게 해야하는 작업들은 조금 귀찮게 느껴졌다. 아마 내가 백엔드라는 걸 정하고 시작을 해서 CSS를.. 2022. 11. 20. 22.11.18 / CS특강 / 동기 비동기 알아두어야 할 용어 제어권 제어권은 자신(함수)의 코드를 실행할 권리 같은 것이다. 제어권을 가진 함수는 자신의 코드를 끝까지 실행한 후, 자신을 호출한 함수에게 돌려준다. 동시성 함수 A와 함수 B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 함수 A가 다른 함수 B의 결과값에 의존하는지가 중요하다. 동기와 비동기 동기(Synchronous) 호출하는 함수 A가 호출되는 함수 B의 작업을 완료 후 리턴을 기다리거나, 바로 리턴 받더라도 미완료 상태이라면 작업 완료 여부를 스스로 계속 확인하며 신경쓴다. (함수 A가 함수 B를 호출한 뒤, 함수 B의 리턴값을 계속 확인하면서 신경쓰는 것) 비동기(Asynchronous) 함수 A가 함수 B를 호출할 때 콜백 함수를 함께 전달해서, 함수 .. 2022. 11. 20. 22.11.18 / CS특강 / 프로세스 스레드 프로세스의 정의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프로세스의 구조 Code : 프로그램 명령이 위치하는 곳으로 기계어로 제어되는 영역 Data: 전역변수(Global Variable), 정적변수(Local Variable)의 할당을 위해 존재하는 공간 Stack: 지역변수 할당과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인자 값(리턴 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임시 메모리 영역) Heap: 동적 할당 시 사용 (Java의 new(),C의 malloc() 등)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Process Address Space)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 Memory에 할당(생성)된다. Process Address Space Code Segmen.. 2022. 11. 1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